#카사바 #Cassava

Pico de loro
필리핀 8일째입니다. Pico de loro도 잘 갔다오고~
저희도 몽골에 한 100년 식민화되지 않았었나..
그 영향력 무시못해요.
스페인과 미국의 합작문화가 현재의 필리핀 곳곳에서 보여요.
필리핀의 식민 역사
필리핀은 16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스페인과 미국의 식민 지배를 받았으며, 이후 일본 점령기를 거쳐 1946년 독립하였습니다.
1. 스페인 식민 통치 (1565~1898년, 약 333년)
- 1521년: 포르투갈 출신 탐험가 **페르디난드 마젤란(Ferdinand Magellan)**이 필리핀을 유럽에 처음 소개함. 하지만 필리핀 원주민(라푸라푸 족장)이 그를 막탄 전투에서 사살함.
- 1565년: 스페인이 본격적으로 필리핀을 식민지로 지배 시작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가 세부에 정착).
- 1571년: 마닐라를 수도로 지정, 가톨릭 선교 및 본격적인 식민 체제 구축.
- 1600년대~1800년대: 스페인은 필리핀을 통한 **무역(마닐라 갤리온 무역)**을 발전시킴. 하지만 필리핀 원주민들은 스페인의 강압적인 지배에 저항함.
- 1896년: 필리핀 독립 혁명(Philippine Revolution) 발생, 지도자 호세 리살(José Rizal) 처형됨. 이후 **에밀리오 아기날도(Emilio Aguinaldo)**가 독립운동을 주도.
-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에서 스페인이 패배, 필리핀을 미국에 넘김 (파리 조약, Treaty of Paris 체결).
2. 미국 식민 통치 (1898~1946년, 약 48년)
- 1898년: 미국이 필리핀을 차지하자, 필리핀 독립군(에밀리오 아기날도)이 이에 저항하여 필리핀-미국 전쟁(1899~1902년) 발생.
- 1901년: 미국이 필리핀을 완전히 장악, 아기날도 체포됨.
- 1902년: 미국이 공식적으로 필리핀을 식민지로 선언. 이후 교육(영어 보급), 행정 시스템 도입.
- 1935년: 미국이 **필리핀 연방 정부(Commonwealth of the Philippines)**를 설립하여 자치권 일부 부여. 초대 대통령 마누엘 케손(Manuel L. Quezon) 선출.
- 1941년: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이 필리핀을 침공, 미국과 필리핀군이 저항.
>> 대형마트와 페트롤은 전부 미국기업이 잡고 있더라고요. 역시 MBA는 미국에서 해야 ㅎ ><;;
3. 일본 점령기 (1942~1945년, 약 3년)
- 1942년: 일본군이 필리핀을 점령, **호세 라우렐(José P. Laurel)**을 앞세운 괴뢰 정부 수립.
- 1944~1945년: 미국이 필리핀을 탈환하기 위해 반격(맥아더 장군의 레이테 상륙작전). >> 맥아더 장군은 우리역사에 한 획을 그은 사람인데 이 사람 한번 알아봐야 할 듯요 ^^~
4. 독립 (1946년)
- 1946년 7월 4일: 필리핀은 미국으로부터 완전 독립, 초대 대통령 마누엘 로하스(Manuel Roxas) 취임.
정리
✅ 스페인 통치 (1565~1898) → 필리핀을 가톨릭 국가로 변화, 스페인 문화 영향
✅ 미국 통치 (1898~1946) → 영어 교육 도입, 민주주의 시스템 일부 정착
✅ 일본 점령 (1942~1945) → 필리핀 민간인 학살 등 피해
✅ 1946년 독립 → 공식적으로 필리핀 공화국 탄생
필리핀은 긴 식민 역사를 거치며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았고, 지금도 스페인 및 미국 문화의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지금 마닐라의 한 호텔에 묵고 있어요.
오늘 아침 친구추천으로 카사바케익을 먹었는데요, 여러분 아열대 식물, 카사바를 알고 계신가요?
전 처음에 이것이 마로 만들어 진걸로 알았는데 그게 아니고
제가 처음 먹어보는 것이었네요.
식감이나 맛은 제 취향은 아닌데
'카사바' 이름이 맘에 들어요 ㅎㅎ

카사바케익
카사바(Cassava)의 유래와 설명
카사바(Manihot esculenta)는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아열대 및 열대 지역에서 널리 재배되는 뿌리 작물입니다. 주로 브라질과 파라과이 지역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스페인과 포르투갈 탐험가들에 의해 아프리카 및 아시아로 전파되었습니다. 현재는 나이지리아, 태국, 인도네시아, 브라질 등에서 주요하게 생산됩니다.
카사바는 가뭄에 강하고 토양 조건이 좋지 않아도 잘 자라는 특징이 있어, 열대 지역에서 주요 탄수화물 공급원으로 활용됩니다. 그러나 생 카사바에는 청산 배당체(Cyanogenic glycosides)라는 독성이 있어 반드시 가공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카사바의 특징
✅ 학명: Manihot esculenta
✅ 원산지: 남아메리카
✅ 주요 생산국: 나이지리아, 태국, 인도네시아, 브라질 등
✅ 주요 성분: 탄수화물(주로 전분), 섬유질, 약간의 단백질
✅ 특징: 생으로 먹으면 독성이 있음 → 가공 필수
카사바를 먹는 방법
1. 가공 후 섭취
생 카사바는 독성을 제거한 후에 먹어야 합니다.
- 껍질 제거 후 물에 담가 두기: 몇 시간 동안 담가 두면 독성이 줄어듭니다.
- 삶거나 찌기: 높은 온도에서 조리하면 독성이 제거됩니다.
2. 다양한 요리법
카사바는 다양한 방식으로 가공 및 조리되어 세계 여러 지역에서 소비됩니다.
🔹 타피오카(Tapioca) – 카사바 전분을 이용해 만든 식품으로, 타피오카 펄(버블티 재료), 푸딩 등에 사용됨
🔹 가리(Gari) – 서아프리카에서 인기 있는 발효 후 건조된 카사바 가루, 죽처럼 요리해서 먹음
🔹 파리냐(Farinha) – 브라질에서 밥처럼 곁들여 먹는 카사바 가루
🔹 팟 카사바 –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서 간식이나 디저트로 사용됨
🔹 튀긴 카사바 – 감자튀김처럼 조리하여 스낵으로 섭취
카사바를 먹을 때 주의할 점
- 생으로 먹지 말 것: 청산 배당체가 포함되어 있어 독성이 있음
- 충분히 가공할 것: 삶거나 찌거나, 발효 후 섭취
- 적당량 섭취: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일부 소화 장애를 유발할 수 있음
카사바는 저렴하면서도 에너지원으로 뛰어나기 때문에 아프리카, 아시아, 남미 등 여러 지역에서 주식으로 소비됩니다. 가공만 잘하면 맛있고 활용도가 높은 식재료입니다! 😊
친구에게 들은 필리핀 밍:
불친절한 직업군
1) 약사 >> 어제 아침에 약국갔다 그들의 거만한 태도에 개인적으로 또 깜놀 ><;;
2) 은행원
3) 공무원
너무 재밌죠? 왜그런지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
친구말로는 월급이 적어서 그렇다네요?
오잉 월급적은 이유가 거만과 횡포의 이유가 될 수 있다니 ㅎㅎ
어제 여기 호텔에 투숙하는 사람들 중 중국인 아주머니였나
그 태도와 말투가 참ㅎㅎ
제가 알고 있는 한국은 필리핀에 교회마다 선교사를 파견하며 후원금을 내고 하는데
이 곳 보니 더 잘사는 사람도 많고
저 캄보디아 있을때도 같은 생각이었는데
(빈민구제는 원님도 못하는 거지만)
각자 자기 이웃 돌보는 걸로 시작해야 할듯요
그리고... 내나라 내가족부터 지키며 사랑하는 게 맞을듯요.
'여행&맛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자연이 폭주한 섬, 일본의 야생 섬 3선 🌴♨️ (1) | 2025.04.22 |
---|---|
1월의 필리핀과 홍콩 날씨 (2) | 2025.01.19 |
2월 홍콩여행 (2) | 2025.01.06 |
홍콩 여행: 저렴한 숙소와 일주일 여행 일정 안내 (5) | 2025.01.03 |
선물같은 쿠키와 생딸기우유 추천 (2) | 2024.12.27 |